생리지연 유도제 생리주기가 불규칙하긴 한데 보통 30~37일이었고최근 2개월은 29일 주기로 했었어요 작년
생리주기가 불규칙하긴 한데 보통 30~37일이었고최근 2개월은 29일 주기로 했었어요 작년 6월에 43일이었던 적도 있긴 했는데 오래 전이라..7/12 예정일이고 오늘 41일째인데 pms도 없어서요생리유도제 맞아야할까요? 부작용도 있나요?최근 관계 후 생리지연이라 스트레스 받아서 그럴 수도 있을까요?임신가능성은 없습니다! (관계 14일 후 일반, 얼리 테스트기 2번 음성)
생리가 예정일보다 많이 늦어지고 있어서 걱정이 많으셨겠어요.
평소 주기: 30~37일, 최근엔 29일 주기였음
현재 41일째 (즉, 평소보다 최소 4일 이상 지연)
임신 가능성 없음 (관계 후 14일 뒤 테스트기 2회 음성)
❓ 이런 상황, 생리유도제를 맞는 게 좋을까?
→ 생리 유도제(호르몬제) 처방은 가능하지만, 무조건 필요한 건 아닙니다.
생리유도제는 보통 다음과 같은 경우에 고려돼요.
지금은 41일차라 유도제를 고려해볼 수 있는 시기에 해당하긴 합니다.
다만, 질문자님처럼 과거에도 43일 주기가 있었던 경험이 있고,
지금 임신도 아니고 스트레스가 큰 상황이라면, 일시적인 생리 지연일 수도 있어요.
→ 요즘 심리적인 스트레스나 긴장감이 크셨다면, 그 영향도 충분히 가능해요.
스트레스만으로도 생리가 일주일 이상 밀리는 경우는 많습니다.
생리유도제는 보통 프로게스틴 계열 호르몬제를 5~10일 정도 복용하고
복용을 멈춘 후 2~7일 안에 생리가 오게 만듭니다.
하지만 단기간 복용이라면 대부분 무난하게 지나가는 편이고,
의사의 판단 하에 사용하면 큰 부작용은 드뭅니다.
오늘까지 기다려보고, 1~2일 안에 생리가 없으면 산부인과 방문 추천
→ 초음파로 자궁 내막 두께, 난포 상태를 보면 자연 생리 가능성도 어느 정도 알 수 있어요.
스트레칭, 따뜻한 찜질, 혈액순환 도움 되는 활동
→ 검사 없이 무조건 약부터 먹는 건 피해주세요.
지금은 생리 유도제를 고려해볼 수 있는 시점이긴 해요.
하지만 스트레스로 인한 지연 가능성도 충분하므로,
당장 급하게 약을 맞기보다 산부인과에서 상태 확인 후 결정하시는 걸 추천드려요.
답변을 채택하면 질문자에게 내공의 50%가 돌아가고
제가 받는 모든 내공은 어려운 이웃에게 기부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