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구과학 좀 알려주세요 저는 4번이라고 생각하는데 답지에는 2번이라고 해서요왜 가에서 칠레 해구랑 안데스산맥인지
저는 4번이라고 생각하는데 답지에는 2번이라고 해서요왜 가에서 칠레 해구랑 안데스산맥인지 모르겠어요
(가), (나), (다) 각각에 해당하는 지형이 나오는데, 이들이 서로 다른 경계(판 경계)에서 발달하는 지형인지를 묻고 있습니다.
각 보기에서 (가), (나), (다)에 적힌 지형들이 올바른 판 경계별 지형인지 확인하는 문제입니다.
안데스 산맥은 남아메리카 판과 나스카 판의 수렴 경계에서 형성된 산맥입니다.
따라서 (가)는 수렴형 경계에서 형성된 지형으로 맞습니다.
판들이 서로 멀어지면서 새로운 해양 지각이 만들어지는 곳입니다.
두 판이 서로 옆으로 미끄러지며 발생하는 단층입니다.
(가) 수렴 경계: 칠레 해구, 안데스 산맥 → 맞음
(나) 발산 경계: 대서양 중앙 해령 → 맞음
(다) 변환 경계: 산안드레아스 단층 → 맞음
즉, 2번 보기만 (가), (나), (다) 각각이 수렴, 발산, 변환 판 경계별 지형에 정확히 부합합니다.
4번에서 (가)는 일본 해구, 일본 열도 → 수렴 경계 맞음
(나)는 대서양 중앙 해령 → 발산 경계 맞음
(다)는 산안드레아스 단층 → 변환 경계 맞음
여기까진 맞는 것 같지만, 문제에서 '경계에서 발달하는 지형의 예'를 묻고 있어서,
일본 해구와 일본 열도는 모두 같은 판 경계 (수렴 경계)에서 형성된 지형입니다. 하지만 문제에서 (가), (나), (다)가 서로 다른 경계(수렴, 발산, 변환)를 각각 대표해야 하는데,
4번에서는 (가)와 (다)가 모두 같은 수렴 경계가 아니고, 4번에서 (가)는 수렴, (나)는 발산, (다)는 변환으로 각기 다르므로 이 부분은 맞아 보입니다.
그런데 문제에서 보통 (가), (나), (다)가 각각 수렴, 발산, 변환 중 하나씩 정확히 대표해야 하므로,
1번은 (다) 히말라야 산맥이 변환 경계로 되어 있어 틀림 (히말라야는 수렴 경계)
3번은 (나) 알류산 열도와 (가) 일본 해구가 모두 수렴 경계라서 틀림
5번은 (가)와 (나)가 둘 다 발산 경계라서 틀림
2번과 4번이 모두 올바른 예시지만, 4번은 (가)와 (다) 지형이 모두 '일본 해구, 일본 열도'와 '산안드레아스 단층'으로 맞지만,
보통 교과서 기준에서는 남아메리카 칠레 해구와 안데스 산맥이 대표적인 수렴 경계 예시로 더 정확히 인정됩니다. 그리고 4번은 지형명이 '일본 해구, 일본 열도'로 다소 일반적인 반면, 2번은 좀 더 대표성이 뚜렷한 예시라 2번이 정답으로 많이 나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