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mg
i
회원가입시 광고가 제거 됩니다
대학생 자산관리를 어떻게 해야할지 궁금합니다. 2022년 10월 군대을 전역하면서 1100만원 정도를 가지고 전역하였습니다. 현재는 대학생
2022년 10월 군대을 전역하면서 1100만원 정도를 가지고 전역하였습니다. 현재는 대학생 2학년 2학기 재학 중이고, 가지고 있는 자산은 아르바이트를 통해 모은 돈까지 전부 1400만원입니다.전역부터 현재까지 어떠한 예금, 적금, 청년도약계좌, CMA, 투자, ETF, 주택청약 등 모든 재테크에 대해서 무지한 상태로 모든 돈을 입출금 통장에 넣은 채 지내왔습니다.얼마전, 저와 비슷하게 군대를 다녀온 친구가 주식 투자, 적금 등의 여러 자산관리를 통해 2000만원을 모은 것을 보고 충격을 받았습니다.자산관리의 중요성을 느끼고 투자와 재테크를 통해 졸업까지 2500~3000만원을 모으는 것이 목표입니다.그런데 경제에 관해선 공부해본 적 없어 어려움을 겪고 있어 질문 드립니다.현재 가지고 있는 자산이 1400만원 정도 있고 또한 학교생활을 하며 과외를 병행할 생각인데요. 이 경우 월급이 80~95정도 될 것 같습니다.1.청년도약 계좌를 개설하기 위해서는 소득 증명을 해야하는데 과외 소득을 신고하고 청년도약 계좌를 개설하는 것이 나을지 대학졸업 후 시작하는 것이 나을 지 궁금합니다.2. 저는 50만원을 넣고 개설만 한 주택청약이 있습니다. 제가 알기로 주택청약도 소득 증명이 필요한데, 과외 소득을 신고하고 대학생주택청약을 넣는 것이 필요할까요? 넣는다면 최소금액만 채우는게 낫나요?3. 매달 40만원 정도의 여윳돈이 있습니다대학생활을 하며 나스닥 지수 주총,s&p500 지수 주총과 같은 안정적인 etf에 장기적 투자하는게 낫나요? 아니면 청약이나 적금에 돈을 넣고, 나머지를 소액이지만 분할투자하는게 좋을까요?3. 목돈 1400만원은 예금을 넣을지, 높은 안전성의 etf에 투자 해야할 지, 분할투자를 해야할 지 고민이 됩니다. 어떻게 해야할지 의견이 궁금합니다.4. 최종적으로 졸업시 3000까지 모으는게 목표입니다. 목표가 적당한지 궁금합니다.5. 만약 저의 입장이라면 어떻게 자산관리를 하실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군 전역 후 바로 자산을 모아가고 계시다니 정말 멋지십니다.
아직 대학생이신데도 1,400만 원이나 모아두셨다는 건 이미 절약 습관과 꾸준함이 있으신 거예요
친구분과 비교하면서 조금 불안해지셨을 수 있지만, 지금 이렇게 자산관리에 관심을 가지신 시점부터가 사실상 “진짜 시작점”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하나씩 차근차근 정리해 드릴게요.
1. 청년도약 계좌 (소득 증명 관련)
청년도약계좌는 만 19~34세 청년이 대상이고, 연소득 6,000만 원 이하 조건이 있습니다.
과외 소득도 신고하면 종합소득으로 인정돼서 가입이 가능해집니다.
다만, 대학생 시기에는 소득이 크지 않다면 조금 기다렸다가 취업 후 안정적인 소득으로 가입하는 것도 나쁘지 않아요.
이유: 과외 소득은 신고 절차가 번거롭고, 당장 큰 세제혜택은 적습니다.
정리: 지금 꼭 가입해야 하는 건 아니고, 나중에 정규직 소득이 생겼을 때 활용하는 게 더 유리할 수 있어요.
2. 주택청약
이미 50만 원을 넣고 계좌를 만들었다면 잘 하신 거예요
청약은 **소득과 무관하게 최소금액(월 2만 원 이상)**만 꾸준히 납입해 두시면 됩니다.
대학생이라면 무리해서 많이 넣을 필요 없이 월 2만 원으로 장기 유지하는 게 가장 좋아요.
3. 매달 여윳돈 40만 원 투자 방향
장기적 목표라면 말씀하신 S&P500, 나스닥100 ETF가 안정성과 성장성을 동시에 잡을 수 있는 좋은 선택이에요.
다만 전액을 ETF에 넣는 것보단:
절반(20만 원): ETF 정립식 투자
절반(20만 원): 적금/예금(비상금 및 안정자산 확보)
이렇게 나누면 학비, 생활비 등 예상치 못한 지출에도 대응할 수 있습니다.
4. 목돈 1,400만 원 활용
전부 투자하기보다는 안전+성장 분산이 필요해요.
예금 1,000만 원: 안전하게 원금 보존 + 이자 수익
ETF 300~400만 원: 장기 투자 (미국 S&P500, 나스닥100)
이렇게 하면 안정성과 수익성을 동시에 잡을 수 있습니다.
대학생 때는 언제든 목돈이 필요할 수 있으니
**유동성(언제든 뺄 수 있는 돈)**을 확보하는 게 특히 중요합니다.
5. 목표 (졸업까지 3,000만 원)
현재 1,400만 원 보유 + 월 80~95만 원 수입 예상 + 매달 40만 원 저축 가능.
단순 계산해도 2년 반~3년 동안:
매월 40만 원 × 30개월 = 1,200만 원
이미 보유 1,400만 원 + 저축 1,200만 원 = 2,600만 원
여기에 아르바이트 수입에서 추가 저축, 이자/투자 수익까지
더하면 3,000만 원 충분히 가능합니다.
목표는 충분히 현실적이고 달성 가능합니다!
제가 질문자님 입장이라면?
청약: 지금처럼 월 2만 원 유지
청년도약계좌: 지금은 굳이 안 하고, 추후 취업 후 시작
여윳돈 40만 원: 반은 ETF(미국 지수), 반은 예금/적금
목돈 1,400만 원: 대부분 예금에 두고 일부 ETF에 분산
투자 공부: ETF부터 시작 → 장기 투자 감각 익히기(반드시 투자 공부하기)
이미 모은 돈도 훌륭하고, 지금부터라도 체계적으로 분산투자와 저축을 병행하면
졸업할 때 3,000만 원 달성은 충분히 가능합니다.
조급해하지 마시고, “안전+성장”을 동시에 잡는 분산 전략으로 가시면 돼요.
반드시 시간 내시어 투자 공부도 해주면 좋겠네요~
작은 금액이라도 ETF에 투자하며 장기적인 투자 감각을 익히는
게 훗날 큰 자산 운용에 큰 도움이 될 거예요 image 투자, 공부만 하지 말고 계좌부터 열어라
투자, 공부만 하지 말고 계좌부터 열어라 많은 초보 투자자들이 책을 사서 읽고, 유튜브 강의를 보며 이론 공부에 집중합니다. 물론 기초 지식을 쌓는 것은 중요합니다. 하지만 실제로 돈을 움직여 보지 않으면 배움의 속도와 깊이가 크게 떨어질 수 있습니다. 투자는 행동으로 옮길 때 비로소 진짜 공부가 시작된다는 점을 기억해야 합니다. 이론과 실전의 차이투자 관련 서적이나 강의에서는 ‘주가는 이렇게 움직인다’, ‘ETF는 이런 장점이 있다’라고 설명합니다. 하지만 막상 실제로 주식 매수 버튼을 눌러보면 생각보다 다르게 느껴집니다. 가...
haan111.tistory.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