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mg
i
회원가입시 광고가 제거 됩니다
일반사회교육과 VS 지리교육과 저는 지금 일반사회교육과랑 지리교육과 중 어디를 갈지 고민하는 고1 학생입니다.
저는 지금 일반사회교육과랑 지리교육과 중 어디를 갈지 고민하는 고1 학생입니다. 일반사회교육과랑 지리교육과를 가기 위해서 필요한 내신 성적?이랑 정시 성적... 그리고 어디를 가는 것이 좋은지 추천 부탁드립니다. 그리고 일반사회교육과랑 지리교육과를 복수전공할 수 있는 학교가 있는지도 말해주세요!!!
1. 일반사회교육과 vs 지리교육과
일반사회교육과
내용: 정치·경제·사회·법·윤리 등 사회 전반을 두루 가르칩니다.
졸업 후: 중·고등학교 일반사회 교사가 주 진로. (교직 시험에서는 일반사회 과목으로 응시)
특징: 경제·법·정치 등 다양한 영역을 다루기에 넓게 배우지만 깊이는 부족하다는 말이 많습니다.
지리교육과
내용: 인문지리(도시·산업·인구 등) + 자연지리(지형·기후·지질 등).
졸업 후: 중·고등학교 지리 교사가 주 진로. (교직 시험에서는 지리 과목으로 응시)
특징: 지리 과목은 수능 선택 과목(사회탐구·한국지리, 세계지리, 생활지리 등)과 연결되기 때문에 교사 수요는 비교적 안정적입니다.
간단 비교
“사회 전반을 두루 가르치고 싶다” → 일반사회교육과
“지리에 관심이 많고, 수업에서 지도·환경·세계지리를 다루고 싶다” → 지리교육과
2. 입시(내신 vs 정시)
두 과 모두 사범대학 소속이 대부분이라, 내신은 상위권을 요구합니다.
수도권 주요 대학 기준: 내신 2등급 초반~중반, 정시로는 국·수·영·탐 표점 합산 상위권(인문계열 평균 이상) 정도 필요합니다.
지역 거점 국립대 사범대(전북대, 부산대, 충북대 등)는 내신 2~3등급대, 정시로는 국어·수학·탐구 합이 상위 10~15% 정도면 합격 가능성이 있습니다.
최상위권 (서울대 사범대 사회교육, 지리교육) → 내신 1등급대, 정시도 전국 최상위권 필요.
3. 복수전공 가능 여부
사범대 내에서도 복수전공/연합전공 허용하는 대학들이 있습니다.
예: 서울대 사범대는 사회교육과·지리교육과 학생들이 교직이수 범위 내 복수전공 가능.
고려대, 부산대, 충북대 등도 사범대 내 복수전공 제도가 있으므로, 학교별 학칙 확인 필요합니다.
다만, 사범대 복수전공은 교직 과목 중복과 교원임용시험 응시 과목 제한 때문에 현실적으로는 쉽지 않고, 교원 자격증은 한 과목만 주어지는 경우가 많음 → 실제로는 “부전공 수준”에 머무르는 경우도 있습니다.
4. 추천 조언
관심 과목으로 판단하세요. 실제 교사가 되었을 때 사회 과목 전체를 가르칠 때 더 흥미가 있나, 아니면 지리 과목을 깊이 있게 다룰 때 흥미가 있나를 상상해보세요.
입시 난이도만 보면 큰 차이는 없고, 둘 다 사범대라 상위권 내신/성적 요구합니다.
교원임용시험 경쟁률은 일반사회가 조금 더 높고, 지리가 상대적으로 안정적이라는 평가가 있습니다.
정리
내신: 수도권 사범대는 1~2등급대, 지역 국립대는 2~3등급대까지 합격 사례 있음.
정시: 인문계열 상위권(상위 10% 이내면 안정적).
복수전공: 일부 대학에서 가능, 하지만 교원 자격증은 주전공 1개만 인정되는 경우 많음.
진로 전망: 일반사회는 폭넓지만 임용경쟁 치열, 지리는 과목 특성상 꾸준한 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