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mg
i
회원가입시 광고가 제거 됩니다
it 프리랜서 경비청구 및 건강보험료 8월말까지 정규직 연봉6500 근무후 9월부터 같은 회사프리랜서로 월 650인데 현재
8월말까지 정규직 연봉6500 근무후 9월부터 같은 회사프리랜서로 월 650인데 현재 회사부담금 빼고 건보료 20내는데9월부터 임의계속가입 하는게 낫나요? 아니면내년 종소세 신고후 금액 확정되는 26년 11월까지 최저소득으로건보료 내다가 내년 11월부터 월 650에 대한 건보료 내는게나을까요?회사소속이라 노트북,사무실 다 회사제공이라제가 월650인데 경비청구 일반적인 생활비로 안되죠?그럼 건보료 폭탄일것 같아서요.재산은 없고 월세집 사는데 계약자는 와이프이고저는 개인워크아웃 상환중입니다.
안녕하세요 도움이 되실까해서 답변드려요.
2025년 8월 말까지: 정규직 연봉 6,500만 원 → 직장가입자 건보료, 회사부담 포함 약 20만 원대 납부
2025년 9월부터: 같은 회사에서 프리랜서 계약 전환, 월 650만 원 수입 예정
현재 고민:
9월부터 바로 임의계속가입으로 직장가입자 수준의 건보료 유지?
아니면 지역가입자로 전환해서, 내년 종합소득세 신고(2026년 5월) → 건보료 반영(2026년 11월)까지는 최저 기준으로 납부 후, 그때부터 월 650 기준 건보료 낼지?
추가조건:
재산 없음, 전세/월세 → 배우자 명의
본인 신용상태: 개인 워크아웃 상환중
건보료 산정 구조
직장가입자: 회사+개인 부담, 보수월액 기준 (연봉 6,500이면 개인 부담 약 20만 원 수준이 맞습니다)
지역가입자: 소득+재산+자동차 기준 → 종소세 신고 기준 소득이 반영됨
지금 9월에 전환하면: 당장은 소득 파악이 안 되니 **2026년 11월까지는 최저 건보료(약 2만 원~11만 원대)**만 부과됩니다.
2026년 11월부터는 2025년 소득(프리랜서 소득 9~12월분+기타)이 반영돼 건보료 확정됩니다.
임의계속가입: 직장에서 퇴사한 사람 중 희망 시, 기존 직장가입자 수준의 건보료(회사부담 제외, 본인부담분만)로 36개월간 유지 가능.
시뮬레이션 (단순 계산)
선택 1: 임의계속가입
2025년 9월부터 매월 약 20만 원 전후 계속 납부
안정적이나, 실제 프리랜서 소득(월 650)이면 나중에 지역보험료로 환산 시 35~45만 원대가 될 가능성 큼 → 즉, 오히려 “싸게” 유지 가능
선택 2: 지역가입자 전환
2025년 9월~2026년 10월까지: 최저 건보료 (재산 없고 월세 → 약 10만 원 미만 수준)
2026년 11월부터: 2025년 소득 반영 → 월 650 × 12 = 연 7,800만 원 → 건보료 약 40만 원대 추정 (정규직 시절보다 훨씬 증가)
따라서, “임의계속가입 vs 지역가입자”를 비교하면:
단기(1년 미만) 관점: 지역가입자가 훨씬 저렴함.
장기(2~3년 지속) 관점: 임의계속가입이 유리할 수 있음 (월 20만 원 vs 월 40만 원 예상).
비용처리(프리랜서 경비 관련)
프리랜서로 신고 시 경비 공제 가능하지만, 생활비는 불가합니다.
경비 인정 가능 항목: 노트북·프린터·사무용 가구·통신비·소프트웨어·업무 관련 출장비 등
지금처럼 회사에서 노트북/사무실 제공 → 실제 본인이 부담한 비용이 적어 경비 인정 받을 게 거의 없을 수 있음.
이 경우 종소세 신고 시 소득금액(=수입-경비)이 크게 줄지 않아 → 건보료 부과액이 높아질 가능성이 큼.
정리해드리면.................
임의계속가입 선택
지금 기준 월 20만 원대 → 프리랜서 수입 대비 “안정적이고 저렴”
특히 소득이 높게 잡히는 상황이라면 36개월 동안 큰 방패막이가 됨.
지역가입자 선택
2026년 10월까지는 최저 보험료(저렴)로 지나가지만,
2026년 11월부터는 월 40만 원 이상으로 “건보료 폭탄” 가능성 높음.
비슷한 질문에 대한 정리글이 있어서 링크 드려요. 조건별로 케이스가 나눠져 있어서 참고하시면 빠릅니다
https://synergyplan.tistory.com image 알뜰살뜰 생활절세 정보
놓치기 쉬운 생활 속 절세 정보와 지원 제도를 소개합니다.
synergyplan.tistory.com
https://noa-rumi.tistory.com image 알짜 정부지원 정보
"정부에서 제공하는 다양한 수익형 프로그램, 제대로 알고 계신가요? 놓치기 쉬운 혜택부터 실전 활용 노하우까지 정리해드립니다."
noa-rumi.tistory.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