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mg
i
회원가입시 광고가 제거 됩니다
납부해야할세액이 실제로 납부해야되는 세금인가요 일반과세 부가가치세과세표준증명 매출과세표준액은 7400만원 인데 세액이 960만원이나 나와서요ㅠ 경비처리나 이런거
일반과세 부가가치세과세표준증명 매출과세표준액은 7400만원 인데 세액이 960만원이나 나와서요ㅠ 경비처리나 이런거 매입자료를 어떻게 해야될지몰라서... 제 사업이 로고만들어주고 음식사진찍어서 광고해주고 배민리뷰배너 만들어주는 일인데 매입자료가 많지 않아서 조언좀 부탁드립니다... 사업자카드로 주유나 한번씩 다이소가서 음식사진 찍을때 쓰는 소품같은거 사긴하는데 이런걸로도 경비처리될까요... 기한후 신고를해서 25년1월~7월 매출액이 7400 잡혀있긴한데 세액이 960이나 나와서.... 저 세액은 언제납부해야되는지 분할은 되는지 궁금하네요
1. “납부해야 할 세액”의 의미
부가가치세 신고서나 과세표준증명에 나오는 납부세액은
매출세액 – 매입세액 = 납부세액으로 계산된, 실제 납부 의무가 있는 금액입니다.
지금 7,400만 원 매출 기준이면 매출세액은 대략 7,400만 × 10% = 740만 원이 기본입니다.
그런데 960만 원이 나온 건, 기한후신고로 인한 가산세(무신고·납부불성실)가 붙었거나 일부 매출세액 계산 시 간주매출·영세율 제외 미적용 등의 영향이 있을 수 있습니다.
2. 매입자료(경비처리) 범위
부가세에서 공제받을 수 있는 매입자료는 사업과 직접 관련 있고, 세금계산서·신용카드전표·현금영수증이 있는 지출입니다.
로고 제작, 음식사진 촬영, 배너 제작 사업이라면.카메라·조명 장비
소품 구매(다이소 등) → 사업 관련성 있으면 가능
주유비 → 현장 촬영, 출장 목적이면 가능 (단, 개인용/혼용이면 비율 나눔)
디자인 프로그램 구독료, 컴퓨터 부품, 소프트웨어, 촬영 소모품 등 전부 가능
단, 개인 생활비나 사업과 무관한 지출은 매입세액 공제 불가.
3. 세금 납부 시기와 방법
기한후 신고를 했다면, 접수 후 1~2일 내에 고지서가 발부되거나 홈택스에서 납부서 출력 가능.
납부 기한: 고지서 발급일로부터 1개월 이내가 일반적.
분할 납부: 부가세는 금액이 1천만 원을 초과하면 최대 2개월 분할 납부 가능.
첫 달에 50% 이상 납부 → 나머지 금액은 한 달 뒤에 납부.
홈택스 또는 세무서 방문 신청 가능.
4. 향후 절세를 위한 조언
사업용 카드를 적극 사용해 증빙 확보.
세금계산서 발급받을 수 있는 거래처는 꼭 발급받기.
경비 인정 범위를 넓히려면 사업과의 ‘관련성’을 증명할 자료(촬영 사진, 출장 기록 등) 보관.
분기별 또는 월별로 매입자료를 정리해두면, 반기나 기말에 한꺼번에 당황할 일이 줄어듭니다.
정리
“납부해야 할 세액”은 실제 납부할 금액입니다.
기한후신고라 가산세 포함일 수 있으니, 신고서 내역에서 가산세 금액을 확인해보세요.
사업과 관련된 주유·소품 구입 등은 증빙이 있으면 매입세액 공제 가능합니다.
1천만 원 이상이면 분할 납부 신청 가능하니, 홈택스/세무서에서 바로 신청하면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