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휴 수당 무슨 말인지 모르겠어요ㅠ 이번 달부터 다이소에서 주 6일 하루 5시간인 알바를 시작했는데요,쉬는 날이
이번 달부터 다이소에서 주 6일 하루 5시간인 알바를 시작했는데요,쉬는 날이 고정이 아니거든요? 그래서 어떤 날은 수요일에, 어떤 날은 토요일에 쉬고 그랬어요. 여기 시스템 상 쉬는 날 이후 6일 내로 무조건 다시 쉬어야 한다더라고요.어쨋든 사장님이 스케줄 조정하시다가 어떻게 하다보니 제가 다음주에 쉬는 날이 두 번 잡혔는데 이렇게 되면 저 주휴 못 받게 된다고 하셨어요. 그 스케줄은 변동이 절대 안 되고요.정확히 저도 무슨 말인지 몰라서 그냥 알았다 괜찮다 하긴 했는데 나중에 주휴 찾아보니 주 15시간만 넘으면 된다고 나와있고, 다음주 쉬는 날이 두 번이나 있지만 일하는 시간은 총 25시간 정도 되는데 왜 주휴를 못 받는 다는 말씀을 하신 걸까요?근무시간 연장한 것도 있어서 주휴 계산해보니 주휴수당이 30정도 나오거든요..다시 물어보기가 좀 그래서요ㅠ 제가 주휴가 처음이고 이미 다 얘기 끝났고 스케줄들이 다 나왔거든요…
주 15시간 이상 근무한 근로자에게 주어지는 ‘유급휴일’의 임금이에요. “1주일에 15시간 이상 성실히 일한 사람은, 최소 하루는 쉴 권리가 있고 그 날도 ‘급여’를 받는다”라는 뜻이에요.
사용자가 ‘쉬는 날’을 정해주면 그 날을 유급으로 인정
주 6일 × 하루 5시간 → 주 30시간 근무
다음 주는 쉬는 날이 2번 → 근로일은 5일, 근로시간은 25시간 정도
여전히 주 15시간 이상이고, 근무를 빠지지 않고 했다면 주휴수당은 발생합니다.
쉬는 날이 하나 더 늘어도 상관없어요. 왜냐면 ‘주휴수당’은 몇 번을 쉬었는지가 아니라
‘15시간 이상 일하고, 약속된 스케줄을 성실히 지켰는지’가 기준이거든요.
질문자님은 25~30시간을 성실히 채우고 있으니 주휴수당 받을수 있습니다.
사장님도 착오나 오해가 있을수 있으니, 사장님하고 잘 이야기 해보세요

최저임금과 주휴수당 계산방법 완벽정리 (2025년, 예시 포함)
최저임금제는 근로자라면 누구나 알아야 할 필수 정보입니다. 특히 주휴수당은 놓치기 쉬운 개념인데요, 오늘은 2025년 최저임금을 기준으로 주휴수당 계산 방법을 예시와 함께 쉽고 자세하게 알려드리겠습니다.✅ 1. 2025년 최저임금은 얼마인가요?2025년 기준 법정 최저임금은 시급 10,030 원입니다.일급: 10,030 원 × 하루 근로시간(예: 8시간) = 80,240원주 5일 근무 시 주급: 80,240원 × 5일 = 401,200원✅ 2. 주휴수당이란?주휴수당이란▶ 사용자가 **1주일 동안 정해진 근로일(통상 15시간 이상)*...
trendsettershin.tistory.com